ADHD2 과도하게 친근한 것이 문제가 될 때?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장애 진단기준, 증상 알아보) 자녀가 있으신 분들은 자녀가 다른 사람과 스스럼없이 잘 지내고, 가까이 지내는 것을 선호하실 겁니다. 그러나 가끔은 아이들이 낯선 사람에게 과도하게 가까이하거나 막역하게 대할 때에는 걱정이 앞서기도 합니다. 이처럼 아동이 낯선 대상에 대해 거리낌이 없이 다가가고 그들과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 아동이 가지는 정신 질환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신질환을 DSM-5에서는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장애(Disinhibited social engagement disorder)로 진단하고 있습니다.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장애는 흔히 어린 아이들에게서 나타나는 외상성 정신질환 종류의 하나이며 어린 아이들이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 형성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이상 증후군 중 하나입니다. 아동이 가까운 대.. 2023. 9. 20. 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란 무엇인가? (feat. 아동발달, 부주의, 충동성) 이번 포스팅은 ADHD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에 대한 내용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ADHD는 최근 성인에게도 많이 진단되기도 하지만 주로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많이 발생하는 신경발달장애 중 하나로, 일상생활 특히 학업과 관련된 상황에서 아이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렇게 학업과 관련되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경우 아동은 향후 학습에도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또래 집단에서의 대인관계 및 사회적 상황에 있어서도 지연된 발달을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아이들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증상을 보이는 지 미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그 기준을 만족할 경우 하루 빨리 치료 및 개입을 진행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ADHD의 진단기준은 무엇인지, 그 치료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두드.. 2023. 9.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