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 정신건강

아이가 자꾸 물건을 입에 넣을때? (이식증 진단기준, 증상, 치료 방법)

by 우심이블로그 2023. 9. 14.

이번 포스팅은 이식증 (pica)에 관한 내용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식증이란 물질을 먹는 것과 관련된 장애로써, 비물질음식을 지속적으로 삼키는 정신질환을 나타냅니다. 흔히 아이들이 많은 경우 장난감을 입에 넣는 경우가 있고, 또한 먹어서는 안될 내용물 (머리카락 등)을 계속해서 입에넣는 경우 부모님들께서는 아이가 이식증을 가지지는 않는 지 의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식이장애는 비음식적인 물질을 섭취하는 장애로써 신체와 정신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흔히 연령이 어린 아이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장애이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식증의 정의와 증상, 원인과 치료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식증 진단기준, 증상, 치료방법
이식증 진단기준, 증상, 치료방법

 

이식증의 진단기준

이식증은 주로 비영양성, 비음식물질을 지속적으로 먹어야합니다. 단순히 입에 물건을 대고 있거나, 머금고 있는 것만으로는 이식증의 진단기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구체적인 이식증의 DSM-5 진단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A. 적어도 1개월 동안 비영양성, 비음식 물질을 지속적으로 먹는다.

B. 비영양성, 비음식 물질을 먹는 것이 그 사람의 발달 수준에 비추어 볼 때 부적절하다.

C. 먹는 행동이 사회적 관습이나 문화적 지지를 받지 못한다.

D. 만약 먹는 행동이 다른 정신장애 (지적 장애, 자폐스펙트럼 장애, 혹은 조현병)이나 의학적 상태 (임신기간 등) 중에만 나타나게 된다면, 이러한 행동이 별도의 임상적 관심을 받아야 할 만큼 심각한 것이어야 한다.

 

 

이식증의 증상

이식증의 주요 증상은 이식증의 진단기준에 나타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상한 물질을 지속적으로 먹는 것입니다. 비물질이나 비식품적인 물체, 예를 들어 머리카락 혹은 레고 등을 지속적으로 입에 넣고 섭취하는 행동이 이식증의 전형적인 증상 중 하나입니다. 이렇게 섭취된 물질로 인해 흔히 위장문제나 손상, 중독 등 다양한 신체적, 건강적 문제가 발생ㅇ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성인 중 이식증을 가진 사람들의 대부분은 정서적 스트레스로 인해 이러한 이식증과 같은 행동을 보이기 때문에, 우울감이나 불안감 등의 정서적 고통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식증의 원인

이식증의 원인과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은 다양하며, 개인에 따라 다양한 이유에서 이식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전형적인 이식증의 원인으로서 뇌활동의 비정상적 기능을 들 수 있습니다. 이식증은 뇌 활동과 관련된 이상과 연결되며, 대부분의 경우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또한 영양부족 역시 이식증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일 수 있는데, 특히 철분부족이나 아연 부족 등이 이식증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스트레스나 불안, 우울증과 같은 정신건강의 문제는 이식증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요인들은 예시일 뿐이며 정확한 이식증의 원인에 대해서는 현재 많은 부분이 연구되어지지않았기에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습니다.

 

이식증의 치료 방법과 예방

이식증의 치료와 예방은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먼저 행동치료를 통해 이식증을 관리하고 특이한 행동을 줄이는 것으 목표로 해야합니다. 또한 영양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영양부족을 우선적으로 해결하고, 건강한 식습관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치료가 진행되어야 합니다. 이식증이 심각한 경우 환자의 주변 환경을 입에 넣을 수 없는 물체들로 대체하여 환경을 개선하는 방법이 잇을 수 있으며, 정신건강치료와 상담 등을 함께 병행하여 이식증과 관련된 정서적 문제를 다루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식증은 심각한 건강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식이장애로써 초기발견과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정신질환으로써 이식증을 초기에 발견하고 이에 대한 예방과 조기치료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식증에 대한 진단기준을 보신 이후, 이식증이 의심될 경우 가까운 정신건강의학과 혹은 심리센터에 방문하시어 상담과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