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 정신건강32

광장공포증 진단기준, 증상, 치료 방법 알아보기 광장공포증이라는 정신 질환을 들어보신 경험이 있으실겁니다. 광장공포증(agoraphobia)란 넓은 광장에 혼자 서 있으며, 이 상황에서 어떠한 도움을 다른 사람들로부터 받지 못할 수 있다는 불안한 느낌과 관련된 정신질환입니다. 사회적 상황에서의 두려움과 회피, 그리고 일상생활에 제약을 초래할 수 있는 광장공포증은 공개된 공간으로의 외출을 저해하는 불안 장애 중 하나입니다. 즉, 광장공포증은 공개된 공간에서 두려움과 불안을 경험하게 되고, 이후 이를 회피하기 위해 외출하는 것을 피해는 이상 정신 질환 중하나입니다. 환자는 집밖으로 나가거나 사회적 상황에 참석하는 것을 점차 어려워하게 되며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 제약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광장공포증의 정의와 진단기준, 원인과 치료방법, 그.. 2023. 9. 22.
과도하게 친근한 것이 문제가 될 때?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장애 진단기준, 증상 알아보) 자녀가 있으신 분들은 자녀가 다른 사람과 스스럼없이 잘 지내고, 가까이 지내는 것을 선호하실 겁니다. 그러나 가끔은 아이들이 낯선 사람에게 과도하게 가까이하거나 막역하게 대할 때에는 걱정이 앞서기도 합니다. 이처럼 아동이 낯선 대상에 대해 거리낌이 없이 다가가고 그들과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 아동이 가지는 정신 질환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신질환을 DSM-5에서는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장애(Disinhibited social engagement disorder)로 진단하고 있습니다.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장애는 흔히 어린 아이들에게서 나타나는 외상성 정신질환 종류의 하나이며 어린 아이들이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 형성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이상 증후군 중 하나입니다. 아동이 가까운 대.. 2023. 9. 20.
지적장애의 진단기준, 증상, 원인, 치료방법 살면서 한번 쯤은 IQ 테스트를 해보신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IQ 테스트는 대표적인 지능검사로써 100을 기준으로 사람의 지능을 평가합니다. 정신질환 중 IQ와 관련된 정신 질환이 지적장애 (Intellectual disorder)입니다. 지적장애는 아동기 시절부터 나타나는 선천적인 장애로, 평균적인 지능에 비해 지능이 떨어지는 신경발달장애의 종류입니다. 흔치 않게 교통사고 및 치매 등으로 인해 지능이 떨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와 같은 지적장애는 선천적인 유전적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 정신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거에는 정신지체라는 용어로 일반 대중들에게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지적장애라는 용어가 공식적인 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발달시기부터 나타나는 지적 기능의.. 2023. 9. 19.
불장난도 정신질환이 될 수 있습니다 (병적 방화 진단기준, 증상, 원인) 어린 시절 수련회를 가신 분들이라면 캠프파이어를 해보신 경험이 있으실겁니다. 뉴스를 통해서도 많은 산불들이 불장난으로 인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뉴스를 통해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불'이란 우리의 삶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필수적인 존재이긴 하지만, 잘못되어 사용될 경우 모든 것을 잿더미로 만들 수 있는 위험한 대상일 수 있습니다. 심리 장애 중 불을 고의로 지르는 정신 질환역시 존재하게 되는데 이를 병적 방화 (pyromania) 라고 진단합니다. 병적 방화는 불을 지르려는 강박과 함께 이를 자제하기 어려운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 질환입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의 병적 도벽과 마찬가지로, 병적 방화는 불을 지르는 것에 대해 일종의 긴장감과 흥분감을 느끼게 되고, 환자는 이를 자제하려는.. 2023. 9.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