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 정신건강

가을 타는게 우울증일 수 있다? (계절성 동반 주요우울장애 진단기준, 증상, 치료 방법)

by 우심이블로그 2023. 9. 13.

9월도 중순이 되었고, 아침 저녁으로 점점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는 요즘입니다. 이맘때 쯤이면 모두들 '가을탄다'라는 느낌을 받으시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일상생활을 하면서 다소 센치해지고, 기분이 가라앉으며 뭔가 짙어지는 느낌이 드는 경우가 가을을 타는 전형적인 증상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일시적인 것일 수 있지만, 몇몇 사람들에게 이러한 가을 타는 증상은 매년 찾아오는 두려운 손님일 수 있습니다. 계절의 변화 (주로 가을과 겨울)로부터 나타나는 정서적 우울감이 주된 증상인 계절성 동반 주요우울장애로 인해 고통을 받는 사람들이 흔히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계절성 동반 주요우울장애로 불리는 이러한 증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계절성 동반 주요우울장애 진단기준, 증상, 치료 방법
계절성 동반 주요우울장애 진단기준, 증상, 치료 방법

 

주요우울장애의 진단기준

계절성 동반 주요우울장애는 이전 포스팅인 '주요우울장애' 라는 진단명 앞에 '계절성 동반' 이라는 추가적인 진단이 붙은 정신 질환의 종류입니다. 특정 계절에 따른 정서적 변화와 증상이 두드러진 우울증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주로 가을과 겨울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름과 봄에도 나타나는 사람들이 있지만 이는 흔히 나타나는 경우는 아닙니다. 이러한 계절성 동반 주요우울장애의 진단기준은 우선적으로 주요우울장애의 진단기준을 만족시켜야 합니다. 이와 관련된 진단기준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주요우울장애란 무엇일까 (우울증, 주요우울장애, MDD)

주요우울장애란 무엇일까? 일상에서 우울증이라고 흔히 불리는 주요우울장애는 평생 유병률이 30%에 다다를 정도로 흔한 정신질환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현재 주요우울장애로 고통을 받고 있으

ourpsychologicalstory.tistory.com

 

계절성동반 주요우울장애의 진단기준

위 포스팅에서의 주요우울장애의 진단기준과 함께 계절성동반이라는 진단기준 역시 만족하여야 합니다. 계절성 동반의 진단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아래 진단기준을 충족시켜야 합니다.
A. 주요우울장애에서 주요 우울삽화의 발병과 한해의 일정한 기간 사이에 규칙적인 시간 관계가 있습니다.
B. 완전관해가 그 해 의 특정기간에 일어나게 됩니다.
C. 지난 2년동안, 위 두가지 진단기준에서 정의 된 계절적 시간 관계를 나타내는 주요우울삽화가 발생하며 동일한 삽화가 비계절성으로 발생하지 않습니다.
D. 계절성 주요삽화가 일생동안 비계절성 주요우울삽화보다 많습니다.
 

계절성 동반 주요우울장애의 주요 증상

계절성 동반 주요 우울장애의 주요 증상은 우선 두드러진 우울감입니다. 특정 계절만 되면 지속적이고 우울한 기분을 경험하게 되며, 해당 계절이 지난 이후에는 우울감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됩니다. 또한 우울감과 함께 피로감이 심하거나 에너지 부족을 느낄 수도 있으며, 잠을 너무 많이 자거나 잠에 드는 것을 힘겨워하는 등의 불면증과 같은 수면 문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식욕변화로 인해 체중의 증가 혹은 감소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일상 활동에서 무기력하거나 관심을 잃고, 흥미가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계절성 동반 주요우울장애의 원인과 치료 방법

계절성 동반 주요 우울장애의 원인은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우선, 계절이 변화함에 따라 사람들이 경험하는 신체의 일광량의 감소는 뇌 화학물질인 멜라토닌과 세로토닌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고 이는 우울감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계절 변화에 대한 신체의 대응이 불규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계적인 신체 내 시계의 불규칙성이 정서적 변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계절성 동반 주요우울장애는 가족력이 있는 경우 자식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며, 한 해 동안 경험된 우울감은 그 다음해의 우울감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계절성 동반 주요우울장애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우선 우울감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심리적, 약물 치료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체생리적 조정을 위한 빛 요법뿐 아니라 건강한 식습관과 충분한 휴식, 그리고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우울감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